Gallery JJ Project 47
Opening Reception: 5.1 THU 5-7PM


전시글 Press Release
갤러리JJ는 미소 짓는 인물 ‘동구리’로 잘 알려진 권기수 작가의 개인전 ≪권기수: Across The Universe≫를 개최한다. 권기수(b.1972)는 자신이 창조한 ‘동구리’라는 기호를 매개로 인간과 세계와의 이상적 관계에 관해 성찰하고 질문한다. 그는 회화를 중심으로 조각, 설치, 영상 애니메이션 등 현대미술의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특히 한국 전통회화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내러티브와 이를 현대적인 감각과 매체로 표현하고 확장하는 작업으로 동시대미술의 새로운 가능성과 독창성을 내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는 서울, 판교, 파주에 위치한 8곳의 전시장에서 동시에 펼쳐지는 ‘현대 한국미술의 발견’ 프로젝트(김노암 기획)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한국 현대미술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중견작가를 집중 조명하여 한국 미술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기획된 이 프로젝트는 권여현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로, 권기수의 예술세계를 총체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갤러리JJ에서는 그의 대표적인 ‘Reflected’ 시리즈를 중심으로 ‘파초’ 시리즈, ‘sky’ 등 회화 19점과 드로잉 6점, 금박을 입힌 동구리 조각 <Hi-Universe> 2점을 선보인다. 약 25년간 우리 곁에 있어왔던 ‘동구리’와 함께 화면 속 풍경을 따라 천천히 거닐 수 있는 서사구조에는 전통 산수화의 수사적 시공간이 겹쳐진다. 마치 도원경 속 인물처럼 자연과 하나 되어 풍경 속으로 관객을 안내하는 동구리는 천진난만하게 보여 유쾌하지만 한편 냉소적으로 비쳐질 수 있으며, 때로는 표현적인 터치의 절규하는 듯한 모습으로도 나타난다. 동구리는 이상적인 인간이나 원형적 존재의 모습이기도 하지만 한편 페르소나 곧 사회 속 획일적인 웃음, 고독과 소외감을 느끼며 부유하는 오늘날 우리 모습의 반영일 수도, 그러한 지친 현대인에게 따뜻한 미소를 건네는 친구일 수도 있다. 관객은 동시대 어법의 견고한 회화 속에서 옛 전통의 맥락과 어원을 발견하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
일견 선명한 색채와 매끄러운 표면의 화면은 컴퓨터로 정확하게 구분된 색면과 간결한 선으로 구성되어 평면적인 회화 공간을 이룬다. 작가가 직접 조합한 아크릴 물감 600여 가지 색상을 사용하는 등 작업은 높은 완성도와 기계적인 정교함, 시각적 화려함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최소한의 기본 형태로 다듬어진 기호들은 다름아닌 사군자, 시서화의 형식 그리고 대나무숲, 매화, 파초, 쪽배와 보름달 등 전통적 문인화와 산수화의 요소들이다. 동양화를 전공한 작가의 무의식적으로 발현되는 전통적 사고와 방식에서 비롯된 자연스러운 표현이겠으나, 정작 그것은 작가 자신이 살아가는 이야기가 되고 동시대 모습의 알레고리가 된다. 이러한 작업을 두고, 동양화를 해체하는 전복적인 회화로서의 팝아트(최범), 문인화의 정신성을 기본 바탕으로 우리 시대의 표현방식과 어법으로 표현해낸 우리시대의 메타문인화(이건수), 현대 한국화의 전통을 세계미술의 흐름과 접목시켜 동서양,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 합쳐진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작업(김노암) 등 많은 해석들이 있다.
동구리가 있는 공간은 주로 유토피아, 이상향의 자연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조선 후기 회화의 역사를 오랫동안 연구해왔던 작가는 노장사상을 비롯해 죽림칠현이나 강태공, 조선의 사대부들이 꿈꾸었던 이상향을 차용하여 자신이 꿈꾸는 유토피아, 이상적인 가상세계를 현실세계와 반영하면서 자유롭게 표현한다. 평론가 유진상에 의하면 권기수는 “한국화의 대표적인 장면들에서 다루어진 장소, 인물, 시점 등을 기호들과 기하학적 형태들로 재구성함으로써 회화적 읽기의 새로운 방식들을 제안한다.”
권기수는 1990년대 후반부터 수묵의 전통과 현대화에 대한 고민 속에서 다양한 매체적 실험을 통해 동양 사상의 전통에 근거하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한편으로는 2000년대 당시 주목을 끌었던 한국의 팝아트에서 발견되는 캐릭터적 요소와 ‘동구리’의 이미지가 시기적으로 잘 부합하여 한데 묶는 경향이 있었다. 비슷한 시기 뉴욕에서 펼쳐진 구글의 글로벌 아트프로젝트 등 국내외 굵직한 이벤트와 더불어 주요 미술관들에 작품이 소장되는 등 그의 작업은 한국 현대미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작업의 시작은 늘 전통에 뿌리를 두지만 지극히 현재, 이 순간의 모습으로 바뀔 수 있다. 2014년 경부터는 대나무를 지워 나가는 작업인 ‘후소後素’ 시리즈가 나타났다. 지우고 비움으로써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음에서다. 한편 일찍이 작품에 등장한 컬러 막대 형태의 대나무 숲은 죽림칠현과 같은 전통적인 이상향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지금의 시선에서 그 수직적인 형태는 빌딩 숲, 마천루의 공간을 연상시키며, 마찬가지로 동구리가 올라앉은 상자 형태의 기암괴석은 오늘날의 기하학적 아파트, 네모난 창으로 비약하기도 한다. 금박을 입힌 시리즈는 ‘금(金)’이라는 매체가 지닌 상징적인 의미를 해체시키며 새로운 서사를 구축한다. 귀하고도 허망하여 성과 속을 오가는 금박 물질은 이중성을 표현하기에 좋은 매체이기에 이 또한 삶의 이중성에 대한 메타포로 작용한다.
제목에 자주 등장하는 ‘Reflected’는 권기수 작업의 많은 것을 설명해주고 있다. 인물의 배경에서 동그란 물결 파문과 함께 정확히 대칭으로 반영되는 두개의 세계는 현실과 가상, 실재와 환영으로 서로 마주하는 추상적 공간이다. 그의 작업에는 이상향과 일상의 장소가 교차하고 있다. 파초로 둘러싸인 낭만적인 공간은 치열한 정치적 공간이기도 하고, 유유자적 배를 타고 가는 동구리의 여정은 인생에서의 인고의 세월일 수도, 아슬아슬 줄타기를 하는 동구리는 녹녹치 않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네 모습일 수 있다. 인간은 한정된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기를 꿈꾸는 존재다. 때로 기존의 공간을 전도시키고, 낯섦을 통해 우리의 일상성을 들여다볼 수 있다. 도달할 수 없는 꿈일지라도 작가는 이를 통해 역설적으로 이상적 세상, 이데아의 세계를 탐색하고 인간다운 삶의 가능성을 질문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권기수의 작업은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현실과 이상, 그 어느 곳에도 정박하지 않는다.
Gallery JJ is pleased to present Kwon Kisoo: Across the Universe, a solo exhibition by Kwon Kisoo, renowned for his smiling character Dongguri. Kwon reflects on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ir environment through this emblematic figure. Working primarily in painting while explor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video animation, he expands the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art by articulating narratives rooted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philosophy through modern sensibilities and methodologies. This exhibition is part of the Discovery of Contemporary Korean Art project curated by Kim Noam, unfolding across eight venues in Seoul, Pangyo, and Paju. As its second installment following another artist, Kwon Yeohyun, the project seeks to broaden appreciation of Korean art by spotlighting mid-career artists pivotal to Korea's contemporary art scene. It offers a comprehensive look into his artistic vision.
Gallery JJ features nineteen paintings and six drawings from Kwon’s signature Reflected series, Plantain series, Sky paintings, and two gold-leafed sculptures titled Hi-Universe. The narrative structure allowing viewers to meander through landscapes with Dongguri—a cultural presence for nearly 25 years—echoes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rhetorical space-time. These figures guide us through scenery as inhabitants of an idealized realm: cheerful yet deceptively sardonic, rendered at times with expressive, even anguished brushwork. They embody both archetypal humanity and contemporary persona, reflecting social conformity or existential isolation, perhaps offering solace to the weary modern minds. Viewers can encounter a unique juxtaposition of traditional references conveyed through a distinctly contemporary visual language.
At first glance, the vivid colors and smooth surfaces exhibit a flat pictorial space with laser-precision color fields and economical lines. The works exhibit virtuosity, technical exactitude, and visual opulence, incorporating over 600 acrylic hues composed by the artist. Yet beneath such geometric clarity lies references to the elements in traditional literati and landscape painting; the Four Gentlemen, Three Perfections tradition, bamboo groves, plum blossoms, plantains, small boats, and full moons. While intuitively manifesting the traditional sensibilities absorbed during his Oriental painting trainings, these elements transform into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nd metaphors for contemporary existence. Critics have interpreted his works variously: as pop subversions of Oriental painting conventions (Choi Beom), as meta-literati expressions channeling spiritual values through modern visual grammar (Lee Geonsoo), and as innovative syntheses of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fine and popular arts by integrating Korean painting heritage within the global artistic currents (Kim Noam).
His Dongguri typically inhabits utopian, idealized natural environments. Drawing from late Joseon painting, Kwon reimagines paradise by referencing Taoist ideals, the Seven Sages of the Bamboo Grove, Jiang Taigong, and hermitic sanctuaries of Joseon literati—juxtaposing conceptual paradise with lived reality. According to critic Yoo Jinsang, Kwon "proposes alternative modes of pictorial interpretation by reconfiguring locations, figures, and perspectives from canonical Korean painting into symbolic and geometric assemblies."
Since the late 1990s, Kwon has built his distinctive artistic vision through diverse media experiments while wrestling with ink painting's tradition and modernization, establishing work grounded in Ea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Coincidentally, the character elements prominent in Korean pop art during the 2000s aligned briefly with Dongguri's image, leading to their conceptual association. His work holds a key position in Korean contemporary art, featured in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hows, including Google's Global Art Project in New York and collected by leading institutions worldwide.
While consistently rooted in tradition, his work can transform into acutely modern expressions. Around 2014, his HouSu後素 series emerged, works that erase bamboo images, suggesting renewal through removal and voiding. Meanwhile, the vivid bamboo forests in his early work represent traditional utopian spaces like those of the Seven Sages, yet concurrently evoking skyscraper clusters from a modern perspective; similarly, the strange cubic rocks upon which Dongguri sits echo today’s architectural geometries. His gold leaf series deconstruct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gold as a medium while constructing alternative narratives. The gold leaf—precious yet ephemeral, traversing sacred and mundane realms—functions as a metaphor for life's inherent duality, perfectly suited for expressing such paradoxes.
The recurring title Reflected expounds central aspects of Kwon's practice. The symmetrically mirrored worlds with circular ripples in his figure backgrounds create abstract spaces where reality confronts virtuality, actualization meets illusion. His work intersects utopian and quotidian realms. The romantic spaces enveloped by plantains concurrently function as politically charged territories; Dongguri's leisurely boat journey might represent years of hardship; and its precarious tightrope walk could be our image navigating challenging society now. Humans dream of escaping limited time-space constraints. Sometimes we can examine our everyday life through inversion of existing spaces and unfamiliarity. Though an unattainable dream, isn't the artist paradoxically exploring the ideal world, the world of Ideas, and questioning the possibility of life? Kwon's work anchors neither in East nor West, tradition nor modernity, reality nor ideal.
WORKS ON VIEW





Road, 2013, Acrylic on canvas on board, 194 x 130cm

Green Table_Gold, 2024-2025, Acrylic on canvas on board, 130.4 x 162.1cm

Sky high-reflected sky, 2017, Acrylic on canvas on board, 130 x 130cm

Reflection of the Moon-Golden, 2012, Acrylic on canvas on board, 130 x 97cm

My favorites-Study 2, 2018, Acrylic on canvas on board, 116.7 x 90.9cm

A slight gentle breeze-violet, 2019-2020, Acrylic on canvas on board, 90.9 x 116.7cm


Trialogue-flame flowers-blue, 2019, Acrylic on canvas on board, 90.9 x 116.7cm

Under the moon, 2017, Acrylic on canvas on board, 72 x 86cm

A red Boat in the Reflected Silver Forest, 2023, Real gold leaf and acrylic on canvas on board, 60.6 x 72.7cm

A Red Boat in the Reflected Golden Forest 2023 , Real gold leaf and acrylic on canvas on board, 60.6 x 72.7cm

A Yellow Boat in the Reflected Red Forest, 2023, Acrylic on canvas on board, 72.7 x 60cm


A Red Boat in the Reflected Blue Forest -You and I, 2014, Acrylic on canvas, 72.7 x 53cm

Stand in the penumbra-bronze-Gold, 2023, Real gold leaf and acrylic on canvas on board, 72.7 x 53cm

Trialogue in the reflected silver forest with flame flowers, 2024, Acrylic on canvas on board, 72.7 x 60.6cm

Boating, 2022-23, Acrylic on canvas on board, 60 x 60cm

도담-Gold, 2023, Real gold leaf and acrylic on canvas on board, 53 x 40cm





상자에서 나오다, 2024, 30 x 30cm each

Hi-Universe, 2021,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frame and Real Gold leaf, Acrylic and Urethane paint, 40(W) x 13(D) x 55(H cm








전시 연계 이벤트 Artist Talk & T-Shirt Making Event




BIOGRAPHY
권기수(b.1972)는 성별이나 나이로 규정지어지지 않는 사람을 의미하는 기호인 '동구리'를 창조, 동양의 전통적인 사상과 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선보이며 한국미술의 저력을 세계에 알려왔다. 홍익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한국화를 전공하였으며, 베니스비엔날레, 부산비엔날레, 상하이 Long Museum, 로스앤젤레스 Museum of Contemporary Art(MOCA), 샌프란시스코 Asian Art Museum, 일본 MORI ART Museum, 런던 Saatchi Gallery, 뉴욕 Museum of Arts and Design(MAD), 뉴욕 UN본부, 타이베이 MoCA, 북경 Today Art Museum 등 해외 유수 기관의 전시에 참여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2003년 이스라엘 Jerusalem Center for Visual Arts의 레지던스에 초대된 것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제프 쿤스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현대미술 작가들과 함께 두차례에 걸쳐 iGoogle 아티스트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일찍이 국제적 작가로서 명성을 다졌다. 2015년,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장학재단 중 하나인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Fulbright Scholar-in-Residence)에 선정되어 미국 Concordia College에서 방문 교수를 역임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등 국내 주요 미술관을 비롯하여 상하이 Long Museum, 샌프란시스코 Asian Art Museum, 베니스 Fondazione Claudio Buziol 등 해외 주요 미술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Artist Biography Kwon Ki-soo (b.1972) has introduced Korean art's strength globally through 'Dongguri'—a symbol representing people undefined by gender or age—while reinterpreting traditional Eastern philosophy in contemporary ways. He majored in Korean painting at Hongik University and its graduate school, participating in exhibitions at prestigious institutions including the Venice Biennale, Busan Biennale, Shanghai Long Museum, Los Angeles MOCA,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 Japan MORI ART Museum, London Saatchi Gallery, New York Museum of Arts and Design, UN Headquarters, Taipei MoCA, and Beijing Today Art Museum.
Beginning with the Jerusalem Center for Visual Arts residency in Israel (2003), he established international recognition by being selected twice for the iGoogle Artists Project alongside world-renowned artists like Jeff Koons (2008). In 2015, he received the prestigious Fulbright Scholar-in-Residence Program and served as visiting professor at Concordia College. His works are collected by major Korean art museum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useum of Art, Gyeonggi Museum of Art, and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as well as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Shanghai Long Museum,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 and Venice Fondazione Claudio Buziol.
권 기 수 (b.1972)
1998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석사과정 수료
199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25 Across the Universe, 갤러리JJ, KH에너지 아트스페이스, 프로젝트스페이스 미음, 서울
스페이스 수퍼노말, 아트노이드178, 서울, 아트스페이스휴, 파주, 마음AI&아르스초이, 판교
2024 봄_무지개, 무등현대미술관, 광주
Colour Bamboo 色竹, 프로젝트스페이스 미음, 서울
2023 너나나나나나너나, Gallery Pi&Kim, 서울
Gift Box, 스페이스 슈퍼노말, 서울
2022 The Universe in the Golden Eye , 아뜰리에 아키, 서울
동동, 완월장취(玩月長醉), 자하미술관, 서울
2021 동구리 20년, 프로젝트스페이스 미음, 서울
2019 Part I 파초(芭蕉) Plantain_ Permanent Blue, 아뜰리에 아키, 서울
Part II Drawing, 아뜰리에 아키, 서울
2013 The Golden Garden, 박여숙화랑, 제주
2012 Hello, Dongguri, Artmia, 북경, 중국
2011 Reflection: 明鏡止水, 갤러리현대, 서울
Dongguri's mysterious smile, Sigiarts Gallery,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Dream Worlds, Opera Gallery,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10 Are you waiting for me?, Metaphysical Art Gallery, 타이베이, 대만
New paintings, 어반아트, 서울
I have a dream, Opera Gallery, 파리, 프랑스
Recent Work, Flowers Gallery, 뉴욕, 미국
2009 여행,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Utopia, Bamboo Art Space, 상해, 중국
From deep black, Flowers Gallery, 런던, 영국
2008 4seasons, 박여숙화랑, 서울
Who's dongguri?, Metaphysical Art Gallery, 타이베이, 대만
Layer, 갤러리나우, 서울
2006 Black Forest, 아트파크갤러리, 서울
2005 권기수-Animation, 백해영갤러리, 서울
2004 붉은 분수, A Red Fountain, 갤러리피쉬, 서울
2002 '아! 꽃이다', 월전미술관 별관 '콩두', 서울
주요단체전
2024 Sabo Collection & Ingo Mauer_Sabo und Freunde, Das Zimmer Gallery, 서울
한국화 3세대의 물결, 한벽원미술관, 서울
예술입은 한복-Hanbok, Reborn as Art, 아스타나 나자르바예프센터, 카자흐스탄
완주팔괴(完州八怪), 누에아트홀 작은미술관, 완주
시간여행자의 갤러리, Das Zimmer Gallery, 서울
50—90: 롱미술관 10주년기념전, LONG MUSEUM WEST BUND, 상해, 중국
시선 하나, H.art1, 서울
2023 A Glance Back. The Theater of Youth, Metaphysical Art Gallery, 타이베이, 대만
신도원도 新桃源圖,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이천
예술 입은 한복, 사비나미술관, 서울
전남수묵비엔날레, 목포시,진도군 등 전남 일원
시대의 이미지, 이미지의 시대: 우리가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강하미술관, 광주
2022 어느 정도 예술공동체: 부기우기 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 울산
Distance Between Me&Me, Powerlong Art Center, Xu Gallery, Shanghai.
Reboot01: Pre-open 개관전, Gallery Pi&Kim, 서울
2021 One Day in The Future...(如果有一天...), Metaphysical Art Gallery, 타이베이, 대만
필묵지간(筆墨之間)-서화, 한글을 만나다, 주홍콩한국문화원, 홍콩
레지던시 프로그램
2003 Jerusalem Center for Visual Arts, Jerusalem, Israel
수상
2015 Fulbright Scholar-in-Residence (Visiting Professor)
작품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상하이 Long Museum, 샌프란시스코 Asian Art Museum 외 다수
KWON KISOO (b.1972)
1998 MFA Oriental Painting, Hongik University
1996 BFA Oriental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5 Across the Universe, Gallery JJ, KH Energy Art Space, Project Space MIUM, Seoul
Space Supernormal, Artnoid178, Seoul, Art Space Hue, Maum AI & ArsCHOI, Pangyo
2024 Spring_Rainbow, Mudeu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ngju
Colour Bamboo 色竹, Project Space MIUM, Seoul
2023 You Me Me Me Me Me You Me, Gallery Pi&Kim, Seoul
Gift Box, Space Supernormal, Seoul
2022 The Universe in the Golden Eye, Atelier Aki, Seoul
Dong-dong, Playing with the Moon and Getting Drunk, Zaha Museum, Seoul
2021 Dongguri 20 Years, Project Space MIUM, Seoul
2019 Part I Plantain_ Permanent Blue, Atelier Aki, Seoul
Part II Drawing, Atelier Aki, Seoul
2013 The Golden Garden, Park Ryu Sook Gallery, Jeju
2012 Hello, Dongguri, Artmia, Beijing, China
2011 Reflection: 明鏡止水, Gallery Hyundai, Seoul
Dongguri's Mysterious Smile, Sigiarts Gallery, Jakarta, Indonesia
Dream Worlds, Opera Gallery, Dubai, UAE
2010 Are You Waiting for Me?, Metaphysical Art Gallery, Taipei, Taiwan
New Paintings, Urban Art, Seoul
I Have a Dream, Opera Gallery, Paris, France
Recent Work, Flowers Gallery, New York, USA
2009 Journey,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Jeju
Utopia, Bamboo Art Space, Shanghai, China
From Deep Black, Flowers Gallery, London, UK
2008 4 seasons, Park Ryu Sook Gallery, Seoul
Who's Dongguri?, Metaphysical Art Gallery, Taipei, Taiwan
Layer, Gallery Now, Seoul
2006 Black Forest, Art Park Gallery, Seoul
2005 Kwon Kisoo-Animation, Baik Hae Young Gallery, Seoul
2004 A Red Fountain, Gallery Fish, Seoul
2002 'Ah! It's a Flower', Woljeon Museum Annex 'Kongdu',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4 Sabo Collection & Ingo Mauer_Sabo und Freunde, Das Zimmer Gallery, Seoul
The 3rd Generation Korean Painting, Hanbyeokwon Art Museum, Seoul
Hanbok, Reborn as Art, Astana Nazarbayev Center, Kazakhstan
Wanju Palgoe (Eight Eccentrics of Wanju), Nu-e Art Hall, Wanju
Time Traveler's Gallery, Das Zimmer Gallery, Seoul
50—90: 0th Anniversary of Long Museum, LONG MUSEUM WEST BUND, Shanghai, China
A single gaze, H.art1, Seoul
2023 A Glance Back~ The Theater of Youth, Metaphysical Art Gallery, Taipei, Taiwan
Shindowondo 新桃源圖, Icheon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Hanbok, Reborn as Art,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Jeonnam Sumuk Biennale, Mokpo, Jindo and Heonnam Province
Images of the Era, Era of Images: How we explain it, Lee Kang-Ha Art Museum, Gwangju
2022 Somewhat Art Community: Boogie Woogie Museum, Ulsan Museum of Art, Ulsan
Distance Between Me&Me, Powerlong Art Center, Xu Gallery, Shanghai
Reboot01: Pre-open Opening Exhibition, Gallery Pi&Kim, Seoul
2021 One Day in The Future...(如果有一天...), Metaphysical Art Gallery, Taipei, Taiwan
Between Brush and Ink - Calligraphy Meets Hangeul, Korean Cultural Center Hong Kong
RESIDENCY PROGRAM
2003 Jerusalem Center for Visual Arts, Jerusalem, Israel
AWARD
2015 Fulbright Scholar-in-Residence (Visiting Professor)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Museum of Art,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Shanghai Long Museum,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and others